본문 바로가기

독서기록/2015

철학이 필요한 시간 - 강신주

-환상은 가장 일반적 형식, 즉 공식  '$◇a' 로 정의된다. 금지가 일어났기 때문에 탄생한 욕망 주체를 $라 표시한다. '분열'을 뜻하는 사선(/)을 '주체'를 뜻하는 S(subject)에 덧붙인 것이다. 욕망 대상을 뜻하는 '대상'은 a(object a)로 표현한다. 여기서 ◇는 "~을 욕망한다."라고 읽어야 한다. 이 공식은 주체 형성과정이기도 하다. 우리는 금지된 것만을 욕망한다.

에크리 - 라캉


-가장 두려운 악인 죽음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존재하는 한 죽음은 우리와 함께 있지 않으며, 죽음이 오면 이미 우리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죽음은 산 사람이나 죽은 사람 모두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왜냐하면 산 사람에게 아직 죽음이 오지 않았고, 죽은 사람은 이미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내는 편지 - 에피쿠로스


-니체의 영원회귀는 이렇게 말한다. "네가 무엇을 의지하든 그것의 영원회귀를 의지하는 방식으로 그것을 의지하라."(지금 인생을 다시 한 번 완전히 똑같이 살아도 좋다는 마음으로 살아라)


차이와 반복 - 들뢰즈


-유한자인 우리는 순진무구함과 폭력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폭력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다. 우리가 신체를 가지고 있는 한 폭력은 숙명이다.


휴머니즘과 폭력 - 퐁티


그렇지만 이리가라이는 평등이란 단어가 함축하고 있는 폭력성에 주목한다. 이것은 남성과 여성사이의 존재론적 차이를 부정하는 논리를 숨기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이리가라이에 따르면 남녀평등은 이념속에서 평등이란 잣대는 여전히 남성적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철학이 필요한 시간 - 강신주]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