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1월 초부터 시작된 하락장의 끝이
조금은 보이는듯 하다.
관심을 가지고 있던 ICO 분야에 투자를 해보고 싶어서
검색을 해보다가
이왕 하는김에 포스팅도 하자, 싶어서
암호화폐 카테고리를 만들었다.
그 첫 시작으로, 마이이더월렛(MyEtherWallet, MEW) 만드는 일부터 시작해보려 한다.
많은 ICO(Inicial Coin Offering)들이 이더리움의 투자를 지원하고,
ERC20(이더리움 기반)을 표준으로 한다.
그래서 보통 ICO 토큰의 지급 방법으로 이더월렛을 이용하는 편이다.
먼저, 마이이더월렛 공식 사이트에 접속한다.
https://www.myetherwallet.com
철자가 미묘하게 다른 스캠 사이트들이 많으니
공식 사이트 주소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팝업이 뜨는데,
일반적인 이더월렛에 대한 설명사항과 주의문이다.
주 내용은, 보안은 개인의 책임이며
보안키, UST파일 등의 유출과 분실 등은 누구도 복구해줄 수 없다는 내용이다.
Password로 설정할 9자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고,
Create New Wallet 버튼을 누르면 절차가 시작된다.
Keystore라는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는데,
이는 지갑에 접속하고 본인임을 인증할 수 있는 파일이다.
Private Key를 입력하거나 위 파일을 업로드 함으로서
내 이더지갑에 들어갈 수 있다.
아주 중요한 파일임으로 분실/유출되지 않게 보관해야 한다.
다음은 Private Key이다.
앞의 Keystore과 같이 지갑에 접근할 수 있는 키이다.
분실되지 않게 프린트 해두거나, 잘 적어두어야 한다.
이 과정을 마치면 이더월렛 생성 절차는 마무리된다.
로그인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는데,
아래에서 세번째 Keystore을 누르면 아까의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Private Key를 누르면 아까의 Key를 적는 방식으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정상적으로 지갑 사용이 가능하다.
-맨 위 Send Ether 버튼을 누르면 이더 전송이 가능하다.
-오른쪽 Account Address는 나의 지갑 주소이다.
-아래 Tokens 버튼을 누르면, 이더 기반 토큰 확인이 가능하다.
처음 목적처럼 ICO 참여를 원한다면,
거래소에서 이더리움을 나의 이더지갑 주소로 전송하고,
이를 참여할 ICO에 전송한다.
후에 이더월렛을 통해 토큰 지급을 확인하면 된다.
***텔레그램 채널에서 빠른 소식을 접하세요***
'블록체인 > I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여한ICO]시핑,샤핑(Shiping) ICO (0) | 2018.02.22 |
---|---|
[ICO진행상황]Cube ICO 종료 후 배분 (0) | 2018.02.22 |
[참여한ICO]큐브(Cube) ICO (0) | 2018.02.12 |
[참여한 ICO]도라도(Dorado) ICO (0) | 2018.02.11 |
[참여한ICO]세이브드로이드(Savedroid) ICO (3) | 2018.02.11 |